안녕하세요 설탕입니다 :)
오늘은 INTJ가 싫어하는 것에 대해 작성해볼께요.
어떤 행동을 하면 싫어할까요.
혹시 내가 그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요?
통찰력이 깊은 INTJ에게 나는 어떠한 행동을 하고 있을지,
싫어하는 행동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NTJ에게 반대되는 말을 지속적으로 할 때
누구나 자신이 옳다라고 은연중에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적당한 선을 지키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죠.
그들은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유형이므로 자신의 세상을 침해 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대화를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것이 옳다며 INTJ의 의견에 반하는 행동은
그들이 무척 싫어하는 행동입니다.
2. 검증받지 않은 정보로 자신의 입장을 주장할 때
지식을 갈망하고 늘 풍부한 정보력을 수용하고 싶어하는 그들은 거만하기도 하지만,
더 나은 정보가 있다면 이를 수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능력도 겸비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열린 마음으로 타인의 대화를 들으려는 준비가 되어있죠.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정보로 지나치게 입장을 주장하여 INTJ와 의견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면,
그들의 신뢰, 마음 모두를 잃게 될 것입니다.
3. 지나친 감정 호소
그들의 취약점은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있습니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것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INTJ에게 감정적인 것은 다루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런 INTJ에게 사소한 문제로 지나치게 서운하다고 이야기를 하거나 눈물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이유를 설명하며 달래주고 미안하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을 떨쳐내지 못해 계속 서운하다며 눈물을 보이는 행동은 INTJ가 싫어하는 행동입니다.
스스로를 통제하는 것,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그들의 삶에서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분석하며, 인간의 존재에 대한 이유 등 다양한 분야에 철학적으로 다가가며 호기심 가득한 그들에게는
감정적인 것은 아주 작은 것에 불과합니다.
4. 우유부단한 행동
계획적이고 효율을 추구하는 INTJ는 미리미리 생각해두는 편입니다.
플랜 A, 플랜B, 플랜 C... 계획했던 일에 차질이 생긴다면 금 같은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대부분 다음 계획을 세워놓습니다.
즉흥적인 사람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지만,
계속해서 계획없이 다가온다던가, 계획을 보여주어도 우유부단한 행동을 하며,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지 못하는 그들을 보면 속이 터질 것 같습니다.
자기 자신과 상대를 위해서 계획을 세워오는 INTJ를 조금이라도 존중하고 배려한다면,
그들의 계획에 수응하거나, 아니면 자신이 생각해온 플랜을 공유해준다면
INTJ들은 더할나위 없이 고마워 할 것입니다.
5. '좋은게 좋은거지~ ' 대충 넘어가려는 행동
좋은건 좋은게 맞습니다.
그들은 호기심이 많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이며, 새롭게 구축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궁금한 것도 많고 새롭게 시도하는 것도 많습니다.
단순하게 넘어가는 것을 싫어하는게 아닙니다.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면 충분히 대화를 통해 넘어갈 수 있습니다.
논리적이고 어린아이와 같은 마음으로 모든 것을 이해하고 싶은 그들에게 대충 넘어가는 것은
그들과 싸움을 시도하는 것과도 비슷합니다.
이런 INTJ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하게만 행동한다면 그들은 곧 떠나게 될 것입니다.
INTJ가 싫어하는 행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들의 별명은 따듯한 로봇, 얼음 이기도 하죠.
상대방을 이유없이 미워한다던가 싫어하지 않습니다.
누구든 마찬가지겠죠.?
싫어하는 행동을 보완함으로써 INTJ 그들의 마음을 끌어당길 수 있을 것 입니다.
INTJ와 친해지고자 하시는 분들께서 자신의 행동에 보완이 필요하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BTI > INTJ'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J는 왜 냉정할까? (0) | 2023.04.08 |
---|---|
[MBTI] INTJ여자/남자가 짝사랑 할 때 행동 (0) | 2023.01.23 |
[MBTI] INTJ가 좋아하는 소중한 친구 | 우정관계 (0) | 2023.01.20 |
[MBTI] INTJ여자의 인간관계 (0) | 2023.01.18 |
[MBTI]INTJ여자가 냉정하고 무뚝뚝한 이유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