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탕이의 이야기/LIFE

돈의 비밀 | 시크릿 中 부에 대한 태도와 감정 고찰

by 설탕-:) 2023. 2. 20.
반응형

○ 돈을 대하는 나의 태도와 감정 ○

 

안녕하세요 설탕입니다. :)

 

제가 근래 몇달 전 까지 제가 가지고 있었던 돈에 대한 생각과

현재 돈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그리고 부를 창조하기 위한 마음가짐은 어떤 마음인지에 대해서 공유를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돈에 대해 긍정적이신가요? 부정적이신가요?

또 돈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소유해야 한다는 마음을 더 많이 가지고 계시나요?

 

전 수년간 돈을 대하는 태도와 감정은 부정적이고, 소유해야 한다는 마음이 강했어요.

 

돈은 모으기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했고, 

돈이 많은 사람은 계속해서 돈이 많고, 가난한 사람은 계속해서 가난한것이라고 생각했어요.

 

부자로 태어나지 않았으니까 돈이 많아질 수 없겠지, 지금 이 정도 벌면 잘살 수 있겠지?

형편에 맞게 살면 되는거지. 

 

이렇게 생각했었어요. 

 

그러다 근래 몇달 전에 '부'라는 것이 궁금해졌어요. 

 

왜 부자만 부자여야 하는걸까?

 

모든 부자들이 다 금수저로 태어난 건 아니잖아.

집안이 부자인 경우의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다 같은 인간으로 태어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부를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하지 않을까..?

 

그리고 돈이 행복의 기준은 아니잖아.

 

행복의 일부분이 돈인 건 맞지만 행복 = 돈은 아니었어요.

그럼 부자들은 돈을 많이 가진 사람들이 부자인 걸까 아니면 다른 무언가를 더 가지고 있는걸까? ..

 

계속해서 '부'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이 꼬리의 꼬리를 물며 자라나더라구요. 

 

그래서 부와 관련된 책들을 접하게 되었고, 읽어보니 실로 놀라웠습니다. 

 

전 제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저의 세상이 좁고 낮은 시야로 갇힌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여러가지의 책이 있었지만 그 중 에서 여러분들께서도 잘 알고 계시는 유명한 책 시크릿인데요.

이 책에서 말하는 돈에 대한 비밀, 돈에게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몇가지 읽어드릴게요.

 


 

 
시크릿 데일리 티칭(양장본 HardCover)
2007년, 론다 번의 《시크릿》 열풍이 일어났다. 《시크릿》의 메시지는 간단하다. 원하는 것을 그저 구하고, 믿고, 받는 것이다. 꿈을 이루는 과정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시크릿 데일리 티칭』은 그러한 열풍을 이어 ‘시크릿’을 ‘습관’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책의 모든 페이지에는 365일 당신의 삶을 바꿔놓을 지혜와 통찰력을 수록하고 있다. 생각은 말로 표현되고, 말은 행동으로 드러나며, 행동은 습관으로 발전되고, 습관은 성격으로 굳어진다는 석가모니의 말처럼 모든 것이 이뤄진 듯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면 습관화가 되면서 우리가 원하는 인간관계, 재정, 건강, 일이 바뀌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론다 번
출판
살림
출판일
2015.01.01

 

먼저는 돈을 끌어당기려면 부에 집중 해야한다. 

돈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집중하면 돈이 부족한 온갖 상황을 만들어내게 될 것이다. 

 

" 빚 청산을 목표로 하면 영원히 빚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무엇을 생각하든 그것을 끌어당기게 되기 때문이다. 빚에서 벗어난다는 건데.. 라고 말하는것도 빚에서 벗어나든 빚에 빠져들든 상관없다. 빚을 생각하면 빚을 불러들이게 된다. 빚 대신 풍요에 집중하라 " - 밥 프록터 -

 

그래서 빚에 대해 생각하지 말고 생각을 바꿔서 풍요하다고 생각하고 집중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한다. 

기분이 좋아질 방법을 찾아서 좋은 것이 끌려오게 해야 한다. 

 

나는 "돈은 힘들게 해서 버는거야" 라는 말을 들으며 자랐다. 그러나 나는 이것을 " 돈은 쉽게 시시때때로 들어온다": 라고 바꿨다. 당신에게도 처음에는 이 말이 거짓말처럼 느껴지리라. 마음 어딘가에서 이렇게 말하겠지. " 순거짓말쟁이. 돈 버는 건 정말로 힘들다고! " 이 작은 공방전이 어느정도는 계속 된다고 알아두는 편이 좋을 것이다. - 로럴 랭마이어-

 


 

제가 이 책의 글들을 상당히 많이 읽어봤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그저 스쳐지나가듯이 읽지 않고, 노트에 적으면서 읽어보았거든요. 

 

로럴 랭마이어씨가 한 말을 읽으면서,

 

전 제가 풍요에 집중을 해야 한다는 걸 알고서 '난 풍요롭게 될거야' 하면서도 

' 결국 쉽게 버는 돈은 없어' 라며 이 작은 공방전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저를 발견했어요.

 

그래서 돈을 쉽게 벌지 못하도록 의식을 끌어당기고 있었다는 걸 알았죠.

 

 

그래서 책에서는 돈을 끌어당기고선 다시 돈에게 등을 돌리고, 돈은 나에게 오는 건 어려운 일이야 라고 한다면,

돈이 오기 어려운 상황들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죠. 

 

반드시 풍족한 상태에 집중하고, 이미 가진것처럼 행동하고 믿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현재 제가 충격을 받고 돈을 대하는 태도와 감정이 굉장히 많이 바뀐 상태인데요. 

 

현재는 예전만큼이나 돈에 대한 마음이 불편하지 않게 됬어요. 

지금은 제가 좋은 마음으로 베푸는 만큼 저한테 다시 돌아올 것이라는 걸 믿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현재의 제 형편을 생각하면서 안절부절하면서 돈을 쓰지 않게 되었어요. 

 

이전부터 제가 느낀건데요, 제가 무척 사고 싶은 것을 사기 전에는 엄청난 고민을 하지만

사고난 후에는 그런 고민을 하지 않더라구요. 그냥 마치 저한테 와야 했던 것 처럼 제 일상이 되어있어요. 

그렇다고 제 형편에 맞지 않게 펑펑쓰라는 내용의 글은 아닙니다.

소비습관은 또 별개로 다루어야 할 일이니까요. 그건 차 후의 글에서 이야기를 나눠볼게요. 

 

하지만 정말 확실하게 달라진 것은  

제가 감사하는 삶을 살아 간다는 거에요. 그 감사하다는게 뭔지를 깨달았어요.

 

제가 돈을 어렵게만 생각하고 감사하다고 생각해 본적은 한번도 없었거든요.

' 돈은 나를 너무 힘들게 하는 것이야 ' 라고 생각했어요. 생사가 돈에 달린 것 같았으니까.

 

하지만 현재 제가 돈에게 감사를 하며 느낀 마음은 이러합니다.

 

" 돈아 나는 너를 정말 사랑해. 고마워 " 

" 너 덕분에 내가 맛있는 밥을 먹을 수 있고, 핸드폰으로 즐거운 영상도 볼 수 있지 "

" 또한 따뜻한 집에서 잠을 잘 수 있게 해줘서 정말 너무 고마워.언제나 나를 행복하게 해주렴 "

" 내가 너를 사랑하는 만큼이나 너 역시도 나를 사랑해주렴. "

 

돈에 눈이 멀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또 돈이 나의 행복의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돈의 가치를 인정하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짐으로써,

나를 위해서 그리고 타인을 위해서 세상의 풍요를 위해서 돈과 친하게 지내야겠구나 생각했습니다.

 

돈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그리고 나의 감정과 태도에 따라서 

악이 될 수도 있고 우리를 돕는 자원이 되기도 해요.

 

저는 우리를 돕는 어떤것이든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리는 고마운 것들이 너무 많거든요.

 

그래서 무엇이든 감사한 마음으로 받는다면 버릴 게 없기에,

저 역시 감사하는 마음을 세상에 내보내려고 합니다.

 

물론 제가 돈이 별로 없을 때 돈을 좋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은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감정은 돈을 끌어당기지 못하게 하잖아요.

 

그러니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부정적으로만 바라봤던 돈에게 사과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돈과 친구하며, 좋은 감정을 느끼고 이미 가진 것에 감사하려고 해요.

 

그리고 앞으로는 이렇게 말할겁니다.

 

" 내겐 돈은 이미 충분히 있어! "

" 세상에 돈은 차고 넘치게 있고, 그 돈이 지금 내게로 오고 있어 "

" 난 돈을 사랑하고 돈도 나를 사랑해 "

" 돈아 고마워 ♥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 분명 제가 생각하고 내뱉는 만큼 저에게 돌아올 것을 믿고 있답니다. 

 

조화로운 세상을 꿈꾸며,

여러분의 삶 역시 풍요가 가득하길 바랍니다. 

 

그럼 우리는 다음 포스팅에서 뵐께요 :)
그럼 안녕 !!


아래 링크를 통해 생생하게 영상으로 시청 가능합니다. 

 https://youtu.be/G6qNKzVESnY

 

반응형

댓글